한자 부수는 한자를 정리하고 배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각 글자의 구성 요소에서 의미와 관련된 부분을 추출해, 비슷한 것끼리 묶어둔 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한자 부수의 변화
이 ‘부수’라는 것은 시대와 자전에 따라 계속 변화해 왔습니다. 현재는 어느 정도 통일이 이루어졌고, 강희자전 방식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한국과 대만에서는 이를 사용하며, 일본은 별도의 방식을, 중국은 간체자 특성상 다른 방식을 채택하기도 합니다.

강희자전과 214부수
강희자전은 청나라 4대 황제 강희제의 칙명으로 편찬된 한자사전입니다. 저명한 학자들이 초빙되어 5년간의 작업 끝에 완성되었으며, 역대 자전을 광범위하게 참고하여 47,035자를 수록했습니다.

특히, 이 방대한 한자를 214개의 부수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 큰 특징입니다.
한자 부수 214자표
아래는 강희자전에서 정리된 한자 부수 214자표입니다.



모바일 화면에서는 다소 보기 불편할 수 있으나, 확대 기능을 활용하면 충분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수표를 통해 자전을 활용할 때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