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엑셀 업무를 하다 보면 서로 다른 시트의 데이터를 연결해 보고서를 완성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VLOOKUP을 활용해 다른 시트의 값을 손쉽게 가져오는 경험을 통해, 데이터를 한 곳에서 정리하고 필요한 값만 찾아오는 과정이 훨씬 원활해진 것을 여러 차례 체감했습니다. 이 글은 그런 제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시트를 참조하는 방법을 간단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핵심 원리와 작동 방식

VLOOKUP의 기본 구문은 동일하지만, 네 가지 인수로 구성됩니다. lookup_value(찾을 값), table_array(참조할 데이터 범위), col_index_num(가져올 열 번호), range_lookup(정확히 일치/근사치 일치)입니다. 다른 시트를 참조할 때는 table_array에 시트 위치를 포함시키면 됩니다.

  • lookup_value: 현재 시트에서 찾고자 하는 값이나 셀
  • table_array: 참조할 데이터 범위이며, 시트 이름과 범위를 함께 표기합니다
  • col_index_num: 참조 범위 내에서 가져올 열의 번호를 의미합니다
  • range_lookup: FALSE(또는 0)는 정확히 일치, TRUE(또는 1)는 근사치를 찾습니다

방법 1: 시트 이름을 직접 입력하여 참조하기

이 방법은 VLOOKUP 함수를 입력할 때 바로 다른 시트의 이름과 범위를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시트 이름에 공백이 없다면 단순히 Sheet2! 범위를 사용할 수 있고, 공백이 있다면 작은따옴표로 묶어 표기합니다.

  1. VLOOKUP 함수를 사용할 셀을 선택합니다.
  2. =VLOOKUP(를 입력합니다.
  3. lookup_value를 선택합니다. (현재 시트의 셀이나 값)
  4. ,를 입력합니다.
  5. table_array를 지정합니다. 다른 시트를 입력하고 데이터 범위를 마우스로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예: Sheet2!$A$1:$B$10
  6. ,를 입력합니다.
  7. col_index_num을 입력합니다. 예: 2
  8. ,를 입력합니다.
  9. range_lookup를 입력합니다. 예: FALSE
  10.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예시: Sheet1의 A2에서 값을 찾아 Sheet2의 A열을 기준으로 B열 값을 가져오고 싶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실제로 입력하는 형식은 한 줄로도 가능합니다.

=VLOOKUP(A2, Sheet2!$A$1:$B$10, 2, FALSE)

방법 2: 시트 간 범위를 드래그로 선택하기

이 방법은 함수를 작성하는 중간에 마우스로 다른 시트 탭으로 전환하고, 필요한 데이터 범위를 드래그해 범위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직관적이고 실수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1. VLOOKUP 함수를 입력할 셀을 선택합니다.
  2. =VLOOKUP(를 입력합니다.
  3. lookup_value를 선택합니다. (현재 시트의 셀)
  4. ,를 입력합니다.
  5. 다른 시트 탭으로 전환합니다.
  6. 참조할 데이터 범위를 드래그로 선택합니다. 이때 수식 입력줄에 자동으로 Sheet2!A1:B10와 같은 형식이 표시됩니다.
  7. 입력줄에서 F4 키를 눌러 절대 참조로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8. ,를 입력합니다.
  9. col_index_num을 입력합니다.
  10. ,를 입력합니다.
  11. range_lookup를 입력합니다. 예: FALSE
  12.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참고로 시트 이름에 공백이 있을 때는 ‘자료 관리’와 같이 작은따옴표로 시트 이름을 감싸 표기합니다. 예: ‘자료 관리’!$A$1:$C$10

주의사항

  • 시트 이름에 공백이 포함된 경우에는 표기법에 주의합니다. 예: ‘자료 관리’!$A$1:$C$10
  • table_array를 절대 참조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Sheet2!$A$1:$B$10
  • col_index_num의 값은 table_array 범위 내에서의 상대 위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열이면 2가 됩니다
  • range_lookup은 FALSE(또는 0)로 정확히 일치를 찾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근사치를 사용하려면 TRUE(또는 1)를 사용하되, 첫 열이 오름차순이어야 합니다
  • 값을 찾지 못하면 #N/A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피하려면 IFERROR 함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자료를 통해 더 자세한 예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