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카카오톡으로 긴 메시지를 보낼 때, 줄 바꿈이 의도한 대로 되지 않아 읽기 어렵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짧은 한 줄로 만 남아 버리는 경험을 했습니다. 그런 불편함을 겪고 나서, 메시지 작성과 프로필 상태 메시지에서의 줄 바꿈 활용법을 차근히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은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실제 화면 순서와 주의점을 함께 담았습니다. 필요할 때마다 문맥에 맞는 링크도 함께 넣어 두었으니 참고해 주세요.
메시지 작성 시 줄 바꿈 방법
안드로이드에서의 방법
- 메시지 입력창에 커서를 두고 키보드를 연다.
- 키보드 오른쪽 하단에 있는 다음 줄 이동 혹은 엔터 키를 탭한다.
- 새로운 줄에 내용을 이어서 작성한다. 보내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 줄 바꿈을 유지할 수 있다.
아이폰에서의 방법
- 메시지 입력창에 커서를 두고 키보드를 연다.
- 키보드 오른쪽 하단의 Return 키를 눌러 줄 바꿈을 한다.
- 새로운 줄에 내용을 이어서 작성한다.
참고
- 보내기 버튼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줄 바꿈은 다다음 줄 이동 또는 Return 키를 눌러서만 가능하며, 보내기를 먼저 누르면 메시지가 전송됩니다.
- 키보드 설정에 따라 버튼의 모양이나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사용 중인 키보드 앱의 설정을 확인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프로필 상태 메시지에서의 줄 바꿈
상태 메시지 편집 시작하기
- 카카오톡을 실행한 뒤, 하단의 더보기 아이콘(점 세 개 모양)을 선택한다.
- 화면 상단의 내 프로필을 선택한다.
- 프로필 편집을 누른다.
- 상태 메시지 부분을 찾아 터치한다.
- 메시지 입력창이 나타나면 여기에 줄 바꿈을 적용하고 싶은 위치에서 엔터 키(Android의 경우) 또는 Return 키(iPhone의 경우)를 눌러 줄 바꿈을 한다.
- 원하는 만큼 줄 바꿈을 적용한 후, 저장 버튼을 눌러 프로필을 업데이트한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의 차이
- 안드로이드: 엔터 키를 사용해 줄 바꿈을 삽입한다.
- 아이폰: Return 키를 사용해 줄 바꿈을 삽입한다.
주의사항
- 프로필 상태 메시지도 글자 수와 줄 바꿈 횟수에 제한이 있을 수 있어, 너무 길게 작성하면 일부가 잘릴 수 있습니다.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 특수 문자나 기기 버전에 따라 줄 바꿈이 의도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줄 바꿈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특수 문자를 이용한 줄 바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끔 특정 특수 문자를 사용해 줄 바꿈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이 안내되곤 합니다. 예를 들어, 제로 폭 공간인 제로 폭 공백은 실제 줄 바꿈이 아니며, 기기나 버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어 읽기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정리하고 싶은 포인트
- 메시지 작성 시: 키보드의 엔터/Return 키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에서 줄 바꿈을 삽입합니다.
- 프로필 상태 메시지 편집 시: 프로필 편집 화면에서 상태 메시지를 작성한 뒤 엔터/Return 키로 줄 바꿈을 적용하고 저장합니다.
- 특수 문자로 줄 바꿈 효과를 시도하는 방법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보다 자세한 도움이나 최신 업데이트가 필요하실 때는 카카오톡의 공식 도움말이나 고객센터를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