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NEWS > 스텔라리움 앱 사용법

스텔라리움 앱 사용법

baeteacher | 5:37 오후 | 2025년 09월 30일

밤하늘을 처음 마주했을 때의 경이로움은 여전히 생생합니다. 이 감각을 디지털 공간에서도 그대로 느끼고 싶다면 Stellarium 앱이 큰 도움이 됩니다. 모바일에서도 실제 하늘을 재현해 주고, 천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관찰 욕구를 충족합니다. 아래 글은 설치부터 기본 조작, 유용한 기능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실제 관찰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스텔라리움 앱 사용법 안내합니다.

설치와 초기 설정

  • 설치: Google Play 스토어(안드로이드) 또는 App Store(iOS)에서 “Stellarium”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무료 버전과 Stellarium Plus(유료) 버전이 있으며, 이 글은 주로 무료 버전을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 권한 허용: 처음 실행 시 위치 정보, 카메라 접근 등 필요 권한을 묻는 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활한 하늘 재현을 위해 위치 정보는 허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위치는 현재 하늘의 위치를 정확히 보여 주는 데 필수적입니다.
  • 계정 없이도 사용 가능하나, 일부 기능은 달력 동기화나 저장 기능을 위해 계정 연동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기본 Observing 모드로 바로 시작해도 장비 없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본 화면 및 제어

앱을 열면 현재 위치와 시간에 맞춘 하늘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다소 많은 도구가 한꺼번에 보일 수 있는데, 차근차로 익히면 어느 화면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하늘 이동(팬닝): 손가락으로 화면을 드래그하면 하늘을 부드럽게 이동하며 관심 있는 영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확대/축소(줌): 두 손가락으로 핀치 동작을 통해 화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밝은 행성이나 먼 은하를 자세히 보려면 확대가 유용합니다.
  • 중심 맞추기: 특정 천체를 탭한 후 돋보기 아이콘이나 중앙 정렬 아이콘을 눌르면 해당 천체를 화면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나침반/자이로스코프 모드: 화면의 나침반 아이콘을 탭하면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실제 하늘의 방향과 연동되는 모드로 전환됩니다. 휴대폰을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화면의 하늘도 함께 움직이므로 직관적인 탐색이 가능합니다. 다시 탭하면 일반 모드로 돌아갑니다.

주요 기능 및 아이콘 설명

A. 화면 하단의 주요 기능

  • 시계 아이콘(Time Control): 탭 시 시간 제어 패널이 열리며, 슬라이더를 움직여 시간을 빠르게 흐르게 하거나 되감기할 수 있습니다. 달력 아이콘으로 특정 날짜를 설정하고, 재생/일시정지 버튼으로 시간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되감기 아이콘은 현재 실제 시간으로 즉시 돌아가기를 도와줍니다.
  • 위치 아이콘(Location Setting):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시 이름으로 다른 지역의 하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동 입력을 통해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직접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검색 아이콘(Search): 돋보기 모양을 눌러 천체의 이름을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선택한 천체의 위치와 정보가 화면 중앙으로 이동해 표시됩니다.
  • AR 모드(증강현실): 카메라 아이콘을 눌러 증강현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실제 풍경 위에 천체가 오버레이로 표시되며, 실시간 관찰에 도움이 됩니다. 이 기능은 카메라 접근 권한이 필요합니다.
  • 환경 설정 아이콘(Settings):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Sky and viewing options, Interface, Display options, 데이터 업데이트 등 다양한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별자리 선과 이름, 행성과 딥 스카이 천체의 표시 여부를 세밀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B. 천체 정보 확인

  • 천체 탭: 화면에서 관심 있는 천체를 탭하면 해당 천체의 간략한 정보 패널이 나타납니다.
  • 정보 아이콘(i): 정보 패널에서 i 아이콘을 눌르면 해당 천체의 상세 정보(밝기, 거리, 종류, 좌표 등 물리량 포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팁

  • 야간 모드 활용: 어두운 곳에서 관측할 때 눈의 야간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야간 모드를 켜면 화면이 붉은색으로 바뀌어 눈부심이 줄어듭니다.
  • 사전 탐색: 실제 관측 전에 앱으로 밤하늘을 먼저 살펴보면 어떤 천체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다운로드: Stellarium Plus 등 고급 기능은 추가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미리 Wi-Fi 환경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해두면 현장 관측이 수월합니다.
  • 확대/축소 활용: 달, 목성, 토성 같은 밝은 천체를 확대하면 세밀한 모습이나 위성의 위치를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별자리 학습 도구: 별자리 선, 이름, 그림 표시 기능을 활용하면 학습에 유용합니다. 다양한 천체 정보를 함께 확인하면 학습 효과가 커집니다.

스텔라리움은 천문학 초보자부터 숙련된 관측자까지 두루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를 바탕으로 앱의 다양한 기능을 직접 체험해 보시고, 실제 관측 상황에 맞춰 활용 방법을 조금씩 확장해 보시길 권합니다. 더 자세한 공식 자료와 도움말은 Stellarium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tellarium 공식 사이트.